자동 갱신 오류중인, Let’s Encrypt SSL 갱신하기

6월 30일

라이트 세일 SSH로 Bitnami 접속.

아래의 명령어로 자동 갱신을 유지중이었지만

sudo /opt/bitnami/bncert-tool

운영중인 2개의 사이트 모두 Let’s Encrypt SSL의 자동 갱신이 되지 않고 있었다.

동일한 명령어로 새롭게 SSL를 부여 해봤지만 적용되지 않았고, 

기존에 수동으로 갱신했던 https://www.grafik.kr/archives/17779 방식도 SSL 갱신이 되지 않았다.

이후 2개의 사이트를 2개의 방식으로 각각 갱신을 진행했고, 모두 올바르게 갱신 되었다.

7월 4일

새로운 SSL 갱신 방식

라이트 세일 SSH로 Bitnami 접속 후

sudo /opt/bitnami/bncert-tool를 입력하면 Let’s Encrypt SSL의 새로운 버전의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이후,

sudo /opt/bitnami/ctlscript.sh stop 를 입력해 사이트를 멈춘다.

sudo /opt/bitnami/letsencrypt/lego --tls --email="이메일 주소 입력" --domains="www.내 도메인주소.com" --path="/opt/bitnami/letsencrypt" renew --days 90

sudo /opt/bitnami/ctlscript.sh start 를 입력해 사이트를 구동시킨다.

 

사이트의 SSL를 체크하면 사용 만료일자가 90일 추가된걸 확인할 수 있다.

 

이 수동 방식을 선택한 이유는

앞서 갱신했던 sudo /opt/bitnami/bncert-tool 방식이 다른 사이트에선 적용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존에 사용했던 수동 방식인 https://www.grafik.kr/archives/17779 도 적용되지 않아서

AWS 에서 제공하는 공식 문서를 참고해 진행했다.

 

기존 방식의 SSL 갱신

라이트 세일 SSH로 Bitnami 접속 후

sudo /opt/bitnami/bncert-tool를 재입력했다.

6월 30일에는 오류로 인하여 SSL의 재갱신이 불가했지만,

며칠 후인 7월 4인엔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Let’s Encrypt SSL의 새로운 버전의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었다.

이후 영상 속 방식대로 명령어들을 입력 후 SSL을 갱신할 수 있었다.

결과

1개의 사이트는 기존에 작업했던 자동 갱신 방식으로,

나머지 1개의 사이트는 새로운 방식의 수동 갱신 방식으로 올바르게 SSL을 갱신하였으며

모두 사용 만료일자가 +90일이 추가된 걸 확인할 수 있었다.

90일 이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갱신할지는 체크해야봐겠다.

 

Total
0
Shares
0 Share
0 Tweet
0 Share
0 Share
0 Share
1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evious Post

3rd Storee – Dry Your Eyes (Album Version)

Next Post

Broken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