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에서 2달 살기를 하면서 [작업 일지] 형식의 영상을 업로드 하기 시작했다.
현역의 서버들 (웹 호스팅)중 가성비 좋은 요금제와 서버 셋팅법,
SEO 관련된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한 상위 1%의 검색엔진 연동법등을 기록했었는데
어느덧 2년 가까운 시간이 지났다.
따라서 그동안 어떤 부분이 업데이트가 되었고 바뀐 부분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체크해 보기로 했다.
–
1. 서버 요금제 [웹 호스팅]
당시 비교했던 요금제는 카페24와 아마존 라이트 세일, 블루 호스팅 이었고
2년이 지난 현재도 이 3개의 서버외엔 이렇다할 루키가 등장하지 않았다.
다만, 카페 24의 경우 새로운 요금제가 생겼기 때문에 다시 한번 AWS 라이트 세일과 비교해 본다.
(블루 호스팅은 현재도 추천하기엔 부족하다. 해외에 서버가 있다보니 한국에서 운영하기엔 속도가 너무 느려 보류)
당시 비교했던 카페24의 요금제는 월 33,000원의 10G 자이언트 플러스 요금제였고,
최대 HDD 용량 14GB, 월 500GB의 트래픽을 제공하고 있었는데
현재도 가격 및 제공하는 서비스에 변경없이 유지되고 있다.
카페 24와 비교했던 아마존 라이트 세일의 경우,
3.5달러 요금제였는데 마찬가지로 제공되는 서비스나 요금엔 변동이 없었다.
오늘 (21년 5월 5일) 환율로 대략 3,900원 정도이며,
최대 SSD 20GB 용량과 1TB의 트래픽을 제공하고 있다.
*카페 24는 33,000원에 최대 HDD 용량 14GB, 월 500GB의 트래픽*
아직까지도 AWS 라이트세일의 요금제가 가장 매력적이고 혜자임엔 변동이 없었다.
다만 카페24의 경우 워드프레스 전용 요금제가 새롭게 출시 되었는데,
개별적으로 소스를 수정한 플러그인, 테마, 코드등을 업데이트 하기 전 테스트 할 수 있는 환경과
테마, 플러그인의 자동 업그레이드를 지원하고 커스텀 가능한 테마를 제공하는 워드프레스 전용 서버인데
위와 같은 서비스와 함께 총 6가지의 요금제를 제공하고 있다.
워드프레스 전용 요금제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테마들
무료 테마들의 경우 한국 정서에 맞는 디자인들이 다수 제공되므로
Envato Market 의 디자인이 정서에 맞지 않는 분들의 경우 좋은 선택일 수도 있다.
카페24의 경우 무료 백업 시스템과 비교적 쉬운 PHP 업그레이드,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등
편의성을 제공하므로 초보분들에겐 진입 장벽이 낮고 부가서비스가 좋은 편이지만
AWS와 가격면에서 비교를 하자면 아직까지도 아쉬운건 여전하다.
–
2. SEO와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최적화 상위1%]
SEO의 경우 yoast SEO 플러그인을 현재도 꾸준히 사용중이며,
해당 영상에서 공개한 설정 그대로 유지중이다.
“구글과 다음의 SEO 연동의 경우 영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초기에 한번 설정하면 이후 별도의 세팅이 필요없기 때문에 체크할 부분이 없었고 현재도 잘 연동 되고 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웹마스터 도구) 의 경우
얼마 전 여러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
연결된 사이트의 최적화 부분을 조금 더 세밀하게 체크한 것 같고 (업데이트 후 초반에 1% 유지 중이던 사이트가 10% 까지 떨어졌다)
자주 사용하던 ‘웹 페이지 수집’ 기능이 더 예민해지고 요청한 페이지를 더욱 면밀히 체크해 노출시키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요청한 페이지를 체크하던 중 요청을 불가하는 경우도 생기게 되었기 때문에
웹 페이지 수집 후의 무조건적인 노출이 보장되지 않았다.
영상을 기록하던 당시에 사이트 최적화 1% 였던 어썸의 경우 현재도 1%를 유지중이며,
Grafik.kr 의 경우 10%대 였던 최적화율이 현재는 2% 까지오른 상태이다.
당시 영상에 기록했던 세팅방법 그대로 유지중이므로,
큰 변동이 없다면 Grafik 또한 1~2%의 최적화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