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노가다 에러로 불리는 ‘HTTP ERROR 500’ 코드의 경우 이용중인 서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에러 중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예측 불가한 경우일 때 출력되는 코드명으로 각 서버마다 출력되는 메시지가 다르다.
이 화면이 뜨면 개노가다가 시작된다.
‘HTTP ERROR 500’ 은 특정 문제로 분류되지 못한 오류 신호이며, 해당 오류에 대한 특정 정보를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오류 페이지에서 해당 오류 코드만 노출된다)
테마 내의 PHP, 설치된 플러그인끼리의 충돌 여부, 서버의 로그 정보등을 찾아봐야 한다.
ERROR 500이 발생할 경우 보통 아래의 에러 코드 중 하나가 오류 페이지에 출력되며,
Internal 500 Error
HTTP 500 Error
Internal Server Error
500 Error
500 Server Error
500: Internal Server Error
다양한 방향의 해결책으로 문제를 파악해 해결해야 한다.
특히 여러개의 PHP 파일들을 수정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했다면, 그 과정중에서 입력한 스크립트의 오류 또는 오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하나하나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아래는 2년 전 기록했던 “HTTP ERROR 500” 해결 방법에서 추가로 몇가지를 더해 정리해봤다.
1. 최신 백업본으로 복구
백업된 시점과 문제가 일어난 시점의 갭이 있다면 과감히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카페24의 경우 7일간의 DATA와 DB 를 자동으로 백업해두니 최신 날짜등으로 선택해 복구 할 수 있고, 아마존 라이트 세일의 스냅샷 또는 백업 플러그인을 통한 파일이 있다면 해당 방법으로 진행하자.
2. FTP 서버의 wp-config.php 파일을 열어 define(‘WP_MEMORY_LIMIT’, ‘256M’); 입력 (128M 도 가능)
번거롭다면 All in one seo 플러그인을 통해 설정이 가능하다.
3. FTP 서버의 .htaccess 파일의 이름명을 임의로 수정 후 접속 테스트
4. 기억을 더듬어 최근 업데이트한 플러그인이 있는지 체크.
FTP서버에서 wp-content – plugins – 에서 해당 플러그인 삭제
내 기준에서 4번의 WP Super Cache 플러그인의 내부 충돌로 인해 오류가 난것으로 확인됨.
일단 삭제는 했지만 왜때문에 충돌이 나고, HTTP ERROR 500 이 났는지는 확인 불가.
다음 업데이트 버전이 나올때까지 “WP Super Cache” 플러그인은 당분간 패스.
5. 카페24를 사용한다면 고객센터 문의를 통해 오류의 원인에 대한 파악 요청을 할 수 있다.
PHP를 업데이트 하다 코드를 잘못 입력했다면 해당 줄의 오류등을 정확히 집어주며 주석 처리까지 해준다.
6. 아마존 라이트 세일을 이용한다면 터미널에 접속 후 로그 파일 체크
PHP를 업데이트 하다 코드를 잘못 입력한 경우,
아래의 문구를 입력해 에러 로그를 찾은 후 직접해결해야 한다.
vi /opt/bitnami/apache2/logs/error_log
7. 파일 업로드 용량이 낮게 설정되어 있다면
.htaccess 내 “php_value upload_max_filesize 64M” 을 입력해 용량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