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SEO 웹 표준 상위 4% 세팅 가이드

2017년 8월에 작성한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최적화 상위 1%”를 작성한지 2년이 다 되어간다.

작년에 네이버 로직과 웹마스터 도구의 기능들이 업데이트된 후

이에 따라 나 역시 운영중인 사이트와 웹마스터 도구에 제출한 데이터를 변경했으니

다시 한번 정리할 겸 기록한다.

사실 지난번 백업 관련 글을 썼지만, 이 글도 자료가 날아간 글 중 하나이다.

뼈가 아프다 .. 다시 한번, 백업을 생활화 합니다.


1. 어썸! 맵스 (https://awesomemaps.co.kr)

어썸은 지난 번 상위 1%를 유지하던 사이트의 업데이트 버전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누보드에서 워드프레스로 플랫폼을 변경했으며,

그와 관련해 사용중이던 SEO 툴도 변경되었다.

모든 세팅이 끝난 지금

지난 주 상위 5%에서 1% 올라 상위 4% 를 유지중이며,

웹마스터 도구 내 [요청] – [웹 페이지 수집] 기능을 통해

새로운 글 또는 페이지 수집 요청시 5분 이내에 [네이버 겸색 결과] 화면에 노출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사용중인 프로그램

서버 : 카페24에서 아마존 AWS 라이트 세일로 서버 이전

플랫폼 : 그누보드5에서 워드프레스로 변경

SEO : 워드프레스로 구축 후 초기 All In One SEO Pack 을 사용하다 Yoast SEO로 변경

Yoast SEO의 경우 [Problem (0)] 으로 문제점 없이 정상 작동중이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현재 어썸 맵스의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화면.

DNS 상태와 수집, ROBOTS.TXT가 정상적으로 작동중이며,

별도의 오류사항은 발견되고 있지 않다.

사이트 SEO 최적화 수치는 “웹 표준을 준수하는 상위 4%” 로

검색 로봇 수집 및 콘텐츠 관리, 사이트 구조와 활성화등에서 모두 “최고에요” 등급으로 노출되고 있다.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검색 로봇 수집의 경우,

Yoast SEO 의 “SITE MAP” 생성 기능을 사용해 [사이트 맵] 을 제출했고,

네이버의 로직과 웹마스터도구 업데이트로 인해 RSS 주소를 함께 제출했다.

네이버 로직 변경 전, 워드프레스로 제작된 사이트는 RSS 주소만 제출했을 경우

검색결과 페이지에 [블로그] 로 필터링되어 가급적 최상단에 노출되었다.

현재는 검색화면에서 웹페이지와 블로그등이 믹스되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

개인적으로 사이트내의 “메뉴” 또는 “페이지” 등을 새롭게 추가 할 경우,

사이트 맵을 바로 업데이트한다.

이때 사이트 맵의 주소는 동일하므로 네이버 또는 구글에 추가로 제출하지 않았다.

사이트 맵 & RSS 제출하기 :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 좌측 메뉴 중 [요청] – [RSS 제출] – [사이트맵 제출]

콘텐츠 관리에서는 테마 특성상 발행되는 “제목이 없는 웹페이지” 수와 동일한 웹페이지 수를 제외하고 모든 항목이 정상적으로 체크되어 있다.

사이트 구조의 [링크 구조 개선] 항목은

Yoast SEO에서 권장하는 [사용자 정의 구조] 로 세팅을 해야 하지만, (일반적인 테마 기준)

어썸처럼 리스팅 관련 테마의 URL 생성의 특수성을 고려해 권장 항목으로 세팅하지 않았다.

때문에 웹마스터에서 표기되는 링크 구조 개선 부분은 감안하기로 했다.

사이트 활성화 항목은 어썸 내에서 꾸준하게 콘텐츠가 생성되고 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체크되어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메뉴 내 [검증] – [웹 페이지 최적화] 에서

HTTP 응답코드 및 페이지 다운로드 속도가 정상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정] 메뉴에서

수집주기 설정을 “빠르게” 로 설정해 사용중이다.

Total
0
Shares
0 Share
0 Tweet
0 Share
0 Share
0 Shar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evious Post

Dynamic Slide – 애프터 이펙트 Project Files

Next Post

포토샵으로 유튜브 썸네일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