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별도의 요금 안내가 없다. 기능을 활성화한다면 비용이 청구될 수 있다.
아마존 AWS 라이트 세일로 워.프를 구축 후 첫 결제 비용이 발생했다.
비용은 Route 53 의 VAT 포함 1.1$ 인데,
네트워킹 메뉴에서 DNS 영역 설정 시 Route 53 설정 관련 링크를 접하게 되며
해당 페이지에서 별도의 요금 안내 없이 설정한 기능에 따라 비용이 발생했고,
인보이스를 본 후 Route 53 기능은 해제했다.
2) 자동백업 불가
워드프레스 내의 훌륭한 백업 기능을 지원하는 여러 플러그인들이 있지만,
백업된 파일로 복원 시 파일의 용량이 제한된 일정 용량을 넘어가면
(근래 여러 테마들에서 자주 사용하는 All in One WP Migration 기준)
유료로 전환해야 하는등 자동 백업 기능은 둘째치고 복원에도 고민을 해야 한다.
아마존 AWS 라이트 세일도 ‘스냅샷’ 이라는 기능으로 백업을 지원하는데
백업되는 용량에 따라 비용이 발생하며,
요금은 스냅샷 파일 기준으로 1GB 당 0.05$ 이며, 위의 Route 53의 결제 내역과 동일하게 인보이스로 확인할 수 있다.
–
워드프레스내의 테마와 사용중인 다양한 플러그인들의
매번 발생하는 업데이트때 백업의 중요성이 더욱 빛을 발하는데,
사용중인 워드프레스의 버전, 테마의 버전, 플러그인 버전에 따라 업데이트 시 충돌이 생길 수 있으며
내 경우 빈번하게 이런 충돌로 인해 사이트 접속이 안된다던가 HTTP ERROR 500 코드등으로
문제가 발생하며, 여러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이 중 문제가 발생한 시점과 내가 보유중인 백업 파일의 시점이 얼만큼 가까운지에 따라
(백업 파일 이후 업데이트된 내역이 없는 상태라면 더욱 좋지만) 복원을 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때, 자동 백업 기능을 지원하는 (카페 24의 경우 매일 서버의 데이터를 자동 백업해둔다) 호스팅의 경우
문제를 더욱 쉽고 빠르게 해결 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아마존의 경우 수동 백업 (스냅샷) 을 통해
백업을 해둬야 하며, 용량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만약 운영중인 사이트의 백업 용량이 512MB가 채 되지 않는다면
All in One WP Migration 플러그인을 통해 무료로 백업과 복원을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