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유튜브 광고 수익이 화두다.
유튜버 수익이 월 얼마네, 5초 광고에 얼마네 하는 등 쉽게 수익 구조도 알아볼 수 있다.
–
나처럼 사이트나 블로그를 운영하는 1人 , 혹은 다수에게는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데
그누보드를 이용해 작업했던 커뮤니티 사이트와 워드프레스의 광고 적용등을 끄적거려본다.
1. 시작 하기 전.
우선 네이버 블로그는 방문자 수 1만명 이상 되야 어느 정도 수익이 나는 걸로 알고 있다.
뭐, 물론 협찬등을 제외한 자체 수익구조로.
이왕 내가 좋아하는 글 또는 사진등을 기재하면서 방문자 수와 수익까지 나면 일타쌍피 아닌가.
이 기준에서 지금 혹은 곧 네이버 블로그를 새로 시작하려는 1人 이라면,
네이버 블로그의 최적화, 품질 체크 등 어느 정도 정보를 취합 후 시작하길 바란다.
내 계정의 블로그가 저품질이라면, 나의 맛깔 나는 글과 사진이 검색 결과에 노출이 어렵다. 안된다.
수익, 방문자수 신경 안쓰고 그냥 내 글 쓴다는 취지로 운영한다면 패스.
참, 네이버 블로그는 구글 애드센스 적용이 안된다.
네이버 블로그나 카페 운영에 관심이 많은 1人이라면 아이보스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나도 그랬고.
–
티스토리는 초대장을 얻어 가입할 수 있고, 제약이 있지만 쉽게 구글 애드센스를 적용할 수 있다.
글 상단, 하단등 티스토리가 정해놓은 곳에 애드센스 소스를 삽입하면 되는데
다양한 사람들이 네이버 검색 결과에 티스토리에서 작성된 글 노출이 몇개월째 안되고 있다고 한다.
네이버와 다음은 경쟁상대이니 그럴 수 있다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로직 변경 이 후, 이런 문제가 생긴게 아닌가 싶다.
–
워드프레스와 그누보드는 플러그인 또는 위젯으로 내가 원하는, 구글 애드센스가 지원하는 다양한
애드센스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메인 여기저기, 글 상단, 글 중간, 글 하단, 사이트 좌측, 우측 등.
2. 가입, 적용
워드프레스, 그누보드, 티스토리 등으로 플랫폼을 정했다면
이제 구글 애드센스를 넣어보자.
[pi_wiloke_button button_name=”애드센스 이동” contextual=”btn-info” size=”btn-default” link=”https://www.google.co.kr/adsense/start/#/?modal_active=none”]
가입 후,
설정 – 내 사이트 – + 버튼을 클릭 후 내 사이트 인증.
내 광고 – 새 광고단위를 클릭해 나에게 맞는 광고를 선택하자.
가장 흔히 사용하는 광고는 텍스트 및 디스플레이 광고로 블로그등에 적합하다.
일치하는 콘텐츠는 그누보드 등 커뮤니티 사이트에 적합하며,
인피드 광고는,
글 목록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누보드, 워드프레스 등에 삽입이 가능한데
광고를 적용하려면 내부적으로 튜닝이 필요하다.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는 일부 특정 사이트에서 적용을 하는 광고인데,
읽는 사람을 배려하기 보다는 “내 글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야!” 라는 수익을 목적으로 할때 적용한다.
보통 뉴스 등을 읽다 중간에 매너없이 끼워져 있는 광고가 바로 이거다.
말이 길어졌다.
“텍스트 및 디스플레이 광고” 를 적용해야 하니, 선택.
총 5개의 광고 크기와 3개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커뮤니티를 운영할때 모두 적용해 봤는데
PC와 모바일을 모두 지원하는 반응형 사이트 또는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반응형” + “텍스트 및 디스플레이 광고” 옵션이 제일 최적이다.
반응형을 제외하고 각 광고들은 “사이즈” 옵션이 있으므로 내 사이트에 맞는 광고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리더보드” 광고의 경우 메인 배너를 대체할 광고로 주로 쓰인다.
–
원하는 광고 크기와 유형을 선택 후 “저장 및 코드 생성” 을 하면
내 구글 애드센스 광고 HTML 소스가 생성된다.
광고를 넣을 곳에 복사 후 그대로 붙여 넣기 하면 되는데
이때, 구글에서 내뱉은 소스를 1이라도 수정한다면 광고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소스는 구글 정책으로 외부, 타인에게 노출시키면 안된다.
–
3. 수익 구조 및 수익금 입금
모든 광고는 노출과 클릭시 수익이 발생한다.
노출은 광고가 보여지는 페이지를 그냥 보았을 때 발생하지만
최소 몇 만 페이지 뷰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의미 없다.
클릭시 수익은 깨끗한 IP, 최초 클릭 발생 시 광고에 따라 다르지만,
내 기준에서 1.5 ~ 1$ 의 수익이 발생했다.
매일 또는 자주 방문한 IP 가 광고 클릭 시 0.5$ 등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
수익금 지급은,
설정 – 지급에서 “지급 받는 방법” 을 “은행 계좌로 송금” 으로 선택 후 내 계좌정보를 입력하자.
내 은행의 SWIFT 은행 식별 코드(BIC) 는 네이버로 검색해서 입력.
(구글 수익금 입금 계좌는 SC 제일은행 또는 카카오 뱅크가 환전 수수료 대비 유리하다.)
설정 – 지급 – “설정” 에서 실제 내가 거주하는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이후 내 주소로 구글에서 “코드” 가 동봉된 우편물을 발송해주며
보통 1주일 정도 소요된다. 동봉된 코드를 계정내에서 입력하면 수익금을 받을 준비가 끝난다.
발생된 수익금은 총 100$가 초과되었을 때 일정 기간 대기 후
환전 수수료 만원 정도 차감 후 내 계좌로 입금 된다.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수익금 체크는 PC 보다는 APP 권장*
–
마지막으로 중요한 건 애드센스 프로그램 정책을 기준으로,
내 IP, 그러니까 내가 운영하는 사이트의 IP로
내 광고를 부정 클릭 시,
일정기간 광고 정지 및 수익금 지급이 정지된다.
내 경험으로 1~2번 정도는 실수 클릭으로 인정해 부정 클릭으로 체크되지 않았다. 물론 수익금도 없었다.
또한 내 광고를 클릭해 달라는 문구 또는 이미지 삽입,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는 컨텐츠 및 성인 및 도박 관련 컨텐츠.
RSS 피드 또는 봇을 이용한 (주로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컨텐츠 복사 및 등록은
광고 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니 참고하자.